[대상] 심봤다!
- 기업명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전북분원)
1. 현장실습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목표 및 계획
전북대학교 정보소재공학과에 재학하면서 학부생 수준을 뛰어넘는 깊이 있는 전공 지식의 필요성을 느꼈고, 장래에 연구원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하여 대학원 진학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부족한 연구실 경험 및 연구원에 대한 직무 이해도 때문에 대학원 진학을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연구실 생활을 경험하고 장래에 되고 싶은 연구원이 저에게 적합한지 알기 위해서 2022년 하기 계절제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으로 현장실습을 가게 되었습니다.
현장실습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목표는 두 가지 의문점에 대한 해답을 얻는 것이었으며 의문점은 이와 같습니다.
첫째, ‘연구원 생활이 나에게 적합한가?’
둘째, ‘적합하다면 남은 대학 생활 동안 대학원 진학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2. 기업에서의 업무 내용 및 현장 적응 노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은 지역전략산업 육성과 연계하여 우리나라 복합소재산업 발전을 견인할 전문 국책연구소로 복합소재 분야의 첨단 원천 소재 개발, 기업지원 및 인력육성 기능을 수행합니다.
그곳에서 저는‘황준연 박사님’ 팀에 소속되어 실험과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① Al 소결 및 표면분석 실험
SPS 장비에 Al Powder를 열, 압력, 냉각 속도를 변수로 하여 소결한 후 응고시켜 제작한 시편을 시편 처리 후, 분석 장비 SEM으로 표면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반복적인 실험 끝에 시편 표면에서 결함이 가장 적게 나오는 온도와 압력, 냉각 속도 조합을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까지 ‘재료상 변태’,‘금속 재료학’전공 내용을 복습하고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실험에 적용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또한, SEM 장비를 직접 운용할 때는‘결정 및 X선 공학’,‘재료평가 및 분석’교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연계하여 접근하였습니다.
② Continuous Fiber for 3D printing
3D printing 용도로 Basalt Fiber와 CNT 섬유에 Pa6, Pla 고분자 물질의 농도를 변수로 코팅해서 복합소재 형태로 제작 후, OM과 SEM을 이용해 표면 측정하고 인장 실험을 통해 기계적 성질을 특성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성능이 가장 좋은 샘플을 연속필라멘트 제조 장비에 넣고 동작시켰을 때, 결과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측정하고 분석했습니다.
실험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재료 조직학’,‘유기화학’교과목을 공부하였고 함께 실험한 인턴 연구원분과 연구 노트를 고찰하고 공부했습니다.
실험 중에는 섬유에 코팅된 고분자의 이탈, 비정상적인 장비 작동, 이론값과 다른 실험 결과 도출 등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
문제에 직면했을 때, 관련 논문을 찾아 읽었으며 주변 선배 연구원분들에게 자문을 얻어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③ CNT for hydrogen storage
‘황준연 박사님’이 진행하시는 과제 연구에 조인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Fuel Cell에 의해 생성된 수소를 저장하는 매개체로써 ‘Carbon Nanotube(CNT)’라는 소재의 응용을 위해 문헌조사하고 얻은 정보에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타당성에 대해 박사님과 discussion 하는 활동이었습니다.
구글 스칼라에 키워드를 바꿔가며 여러 논문을 찾아서 읽고 경향을 조사해보고 찾은 논문을 가지고 박사님과 ‘Paper study’를 진행하였으며, 주간 랩 미팅 시간에 활용하여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주제는 전공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화학 위주의 내용이었기에 황준연 박사님께 받은‘Carbon’서적을 위주로 공부하였고 모르는 내용은 구글링, 박사님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공부했습니다.
3. 현장실습을 통해 배운점 및 보람
현장실습에서 실험을 진행하면서 전공 지식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미흡하게 공부했던 내용들, 시간이 지나 잊어버린 내용들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실습 기간 초기에는 지식이 부족했던 만큼 편협한 시선으로 실험을 진행했고 결과 또한 좋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부족한 점을 메꾸기 위해 이수했던 전공 교과목을 복습했고 공부한 이론을 실험과 연관 지어 탐구한 결과,
구체적으로 실험을 이해할 수 있었고 체계적으로 전공 지식을 재정립할 수 있었고 실험을 통해 연구를 발전시키는 과정들이 재밌었고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사진으로만 보았던 SEM, TEM, XRD 등 고가의 장비를 직접 보고 운용해보면서 이론으로 배웠을 때보다 더 깊은 공부를 하는 것이 가능했고,
랩 미팅을 통해 연구원분들 앞에서 PPT 주기적으로 발표해봄으로써 구두 발표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프레젠테이션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배우게 되었습니다.
영어로 된 논문을 처음 접했기에 논문을 읽으면서 이해하지 못한 채 읽고만 넘어간 적이 많았습니다. 때로는 일주일 내내 논문을 찾고 읽으면서 좌절하기도 하고 진로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한 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논문을 읽다 보니 읽는 요령을 터득하게 되었고 넓은 범주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읽히지 않았던 내용의 논문이 수월하게 읽히고 이해가 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되었는데,
탐구와 집중을 통해 스스로 발전하고 있음을 체감하여 뿌듯함을 느끼게 되었고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탐구하는 자세가 연구자로서 중요한 태도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현장실습은 같은 팀원분들, 협력해서 연구하는 다른 박사님들과 연구원분들, 워크샵에서 만난 다양한 대학원생분들과 교수님들 등 다양하고 많은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연구는 대부분 혼자서가 아닌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서 타인과의 협력의 중요성을 체감했습니다.
또한, 그들이 연구와 실험에 몰두하고 좋은 성과를 내서 기술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하게 되었으며 그곳에 계신 연구원분처럼 되고 싶다 다짐하였습니다.
현장실습을 통해서 진로의 방향을 확실하게 정할 수 있었고 자신감을 얻게 되었습니다. 장래에 연구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학교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배경 지식을 위한 전공 공부, 영어 논문을 읽기 위한 영어 공부가 앞으로 남은 대학 생활동안 집중해서 키워야 할 역량이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4. 진로탐색/취업과의 연계 경험담 및 취업 성공을 위한 각오
현장실습을 통해 대학원 진학을 결심했지만, 연구 분야와 진학할 학교를 정하지 못해 저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재학 중 이수한 교과목을 훑어보면서 좋은 성적을 받은 과목과 흥미를 느꼈던 과목을 선별하였고 ‘반도체 소자/재료’와 ‘신재생 에너지’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관련 분야를 연구하시는 저희 학과 교수님과의 상담을 진행하였고 연구 경향, 종류, 장/단점 등 유익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뚜렷한 연구 분야를 정하기 위해서 ‘구글 스칼라’를 통해 다양한 논문을 읽었으며 그 중‘Solar Water Splitting’이라는 인공 광합성 기술 연구가 흥미롭게 느껴져 연구 분야로 결정했습니다.
연구 분야의 키워드를 정하고 ‘김박사넷’,‘ 하이브레인넷’과 같은 대학원 커뮤니티에서‘Solar Water Splitting’주제로 연구하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님을 찾게 되었고
KIST에서 연구한 내용을 요약하여 PPT와 CV를 작성해 컨택 메일을 보냈습니다. 그 후 연구실에 방문하여 면담을 완료했고 2023년 GIST 대학원 봄학기 2차 전형에 석, 박사 통합과정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2023년도 GIST 봄학기 2차 전형에 서류제출을 완료한 상태로, 2022년 11월 15일 (화)에 나오는 서류 결과를 기다리면서 면접에 대비하기 위해 전공 및 논문 공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GIST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기 위해 온라인 입시설명회에 참가하여 필요한 정보 수집 활동을 하고 목표 어학 점수(TOEIC)를 달성하기 위해 독학하여 22년 9월 25일 정기 토익 시험에서 목표 점수를 달성하였습니다.
목표하는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남은 기간 면접 준비를 꼼꼼히 하여 합격해서 현장실습에서 만난 연구원분들처럼 훌륭한 연구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